우회전 일시정지 규정이 적용된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났습니다. 많은 운전자분들이 잘 지키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경우 달라진 게 없기도 합니다. 어느 순간 단속이 이어질 수 있을텐데 벌금 및 벌점은 어떻게 되는지, 횡단보도고 있을 때 통과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드립니다.
특히 우회전 일시정지에 대해서 잘 모르는 운전자들도 많이 있습니다. 예전에 비해 사고건수가 줄어든 것 같지만, 갑자기 이걸 안 지켜서 생기는 사고들이 나오기 시작한다면 그때부턴 단속이 본격화될 수 있습니다. 그런 상황이 오면 제대로 알지 못하는 분들은 딱지를 끊어야 할 수 있습니다.
우리집 막내는 운전초보때 잘 모르는 상황에서 무조건 섰다가 지나가곤 했습니다. 어찌보면 가장 안전운전이고, 현명한 선택이기도 합니다. 또한, 쉽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사진으로 설명이 된 경찰청 배포 인포그래픽도 함께 게재해드립니다.
만약 단속되어 적발되었다면 승합차는 벌금 7만원, 승용차는 6만원, 오토바이는 4만원을 내야합니다. 동시에 벌점 10점을 받게 됩니다. 벌점이 쌓이게 되면 정말 안 좋은데요. 보험료 할증까지도 될 수 있기 때문에 관리를 잘 해야 합니다.
우회전 일시정지 규정은 간단하지만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기도 합니다. 전방 신호등이 빨간색인 상태라면 일시 정지 후 보행자가 없다는 걸 확인하고 우회전하면 됩니다. 초록색불인 상태에서는 속도를 줄이고 건너려는 사람이 있으면 정지, 없으면 서행으로 지나갈 수 있습니다. 즉, 무조건 서야 하는 건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회전 신호등이 있다면 간단합니다. 그냥 초록불일때 가면 되는 것이지요. 이게 초록불일 때 가이드 때문에 무조건 서야 하네~ 말아야 하네~ 말싸움을 종종 하는 것 같습니다. 헷갈릴땐 그냥 서면 됩니다. ㅎㅎ
결국 우회전 일시정지 규정이 만들어진 건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서고,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도로에서 차가 우선이라고 할 수 있지만, 결국 차는 사람이 편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사람이 우선이라는 사실은 항시 1순위이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위해서라도 우회전하기 전에 잠시 정차해서 살펴보고 지나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보모음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국민연금 인상률, 얼마나 더내나? 요율 비교, 계산방법 (0) | 2024.11.05 |
---|---|
머리감는 횟수 빈도 기준, 매일 감기 vs 이틀에 한번 (0) | 2024.11.05 |
폐가구 스티커 가격 및 발급방법, 버리는 가구 배출 요령 (0) | 2024.11.04 |
우리은행 퇴직연금 수령방법, 퇴직금 IRP계좌 개설방법, 해지방법 (0) | 2024.11.04 |
광명사랑화폐 카드 발급방법, 사용처, 혜택, 구매처 (0) | 2024.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