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65세 지하철카드, 서울시 어르신 교통카드인 시니어패스 발급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드립니다. 더불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도 함께 살펴보세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현재 만 65세가 되면 다양한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들이 많아집니다. 60대는 아직 팔팔할때라고도 하지만, 법적으로 현재 노인으로 본격 분류되는 나이이기때문입니다.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어르신 교통카드인 시니어패스는 처음 신청할 때 반드시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재발급할대는 대리발급이 가능합니다. 선불 충전으로 사용할수도 있고, 후불 교통카드로 활용할수도 있습니다. 단, 버스요금은 선불 충전이 필요합니다.
시니어패스 교통카드는 살고 있는 거주지 행정복지센터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받는 것은 단순 무임카드로 활용할 수 있고, 신한은행에 방문해서 신용교통카드, 체크교통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신분증만 챙겨가면 되고, 별도의 제출서류는 필요없습니다.
서울시 어르신 교통카드는 수도권 도시철도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 지하철, 전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니 무임승차를 당당하게 할 수 있는 나이가 만 65세가 되는 셈입니다. 단, 버스는 무임이 안되기 때문에 요금을 내야 합니다. 그런 이유로 어르신들은 주로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요금 문제도 있지만, 버스에 사람이 많을 때는 서서 이동해야 하기에 많이 불편할 수 있기에 그런 것도 있습니다. 전철을 이용하면 서서 가더라도 몸이 많이 불편한 게 아닌 이상 어렵지 않기 때문에 교통비를 절약하려면 가급적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1호선 ~ 9호선의 기본 전철과, 김포골드, 공항철도,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선, 신림선, 신분당선, 경강선, 서해선, 인천 1,2호선, 에버라인, 우이신설선, 의정부선 정도가 무료 이용할 수 있는 범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정보모음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듀럼밀 파스타 면 효능, 혈당 당뇨 관리에 도움되나 (0) | 2024.12.19 |
---|---|
택배물건 도난 및 분실, 파손 보상 가능한 경우, 보상방법, 절차 (0) | 2024.12.19 |
다가구 vs 다세대 주택 차이점 (0) | 2024.12.18 |
2026 월드컵 3차예선 한국 경기일정, 생중계 (0) | 2024.12.18 |
가정용 라디에이터 전기세 얼마나 나오나, 장점, 단점 (0) | 2024.12.16 |
댓글